
강미정 조국혁신당 대변인이 당내 성비위 사건에 대해 호소하며 탈당을 선언했다. 또한 이와 관련해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의 2차 가해 발언이 알려지면서 여성 인권 등을 강조해오던 진보 성향의 정당에서 잊혀질 듯하면 터지는 성추문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조선일보는 5일 <'진보' 정당에서 일상화되는 성추행과 2차 가해>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강 대변인의 기자회견 발언을 언급하며 “이 말이 맞는다면 조국당은 조직적으로 은폐·무마를 시도하고 피해자와 그를 도운 사람들에게 불이익을 준 것”이라고 밝혔다.
사설은 “평소 ‘인권’과 ‘젠더 감수성’을 강조하는 이른바 ‘진보’ 정당에서 성추문이 끊이지 않는 것은 특이한 현상이다. 일회성이 아니고 잊을 만하면 터진다”면서 “피해자가 문제를 제기하면 당은 은폐·무마를 시도하고 그래도 피해자가 저항하면 2차 가해를 하는 것은 이제 거의 공식처럼 돼버렸다”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이 불거지자 민주당은 피해자를 ‘피해 호소인’으로 부르고 지지자들은 박 전 시장을 미화하는 영화 제작을 시도했다”며 “이런 사람들이 ‘진보’를 자처하며 범여권을 형성해 국회를 장악하고 있다”고 한탄했다.
중앙일보도 이날 <성평등 내세우는 조국혁신당에서 벌어진 성 비위 파문>이라는 사설에서 “부적절한 발언도 문제지만 최 원장을 강사로 초청한 결정부터 납득하기 힘들다”면서 최 원장의 과거 ‘암컷이 나와서 설친다’와 법사위 온라인 회의 중 성희롱성 발언을 언급하며 “성 비위 폭로가 이어진 혁신당에서 이런 인물을 강사로 초청했다니 2차 가해를 자초한 꼴”이라고 꼬집었다.
사설은 “민주당의 책임도 묻지 않을 수 없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어제 즉각 진상조사를 지시했으나, 최 원장을 교육연수원장에 임명한 게 정 대표 아닌가”라면서 “성희롱 발언으로 중징계를 받은 인물에게 당원 교육이라는 중책을 맡긴 민주당의 도덕 불감증이 추가 피해를 불렀다”라고 비판했다.
경향신문은 <‘2차 가해’로 번진 혁신당 성비위, 무겁게 규명·성찰하라>라는 사설을 통해 “성희롱 의혹 가해자를 제명하고도 성찰은 없이 2차 가해가 이뤄졌다니 개탄스럽다”며 “2차 가해를 범죄로 인식하지 못하는 정치권의 낮은 성인식과 윤리의식이 문제의 뿌리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설은 “당내 동료들조차 존중하지 않으면서 국민을 존중한다고 할 수 있겠는가”라며 “정치권에서 성비위와 2차 가해 논란이 반복되는 건 여론 질타를 받으면 그때만 사과하고 몸을 낮출 뿐 근본적 성찰과 인식 변화가 없기 때문일 것”이라고 밝혔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