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예산이 폭증했다는 연합뉴스의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서울시는 11일 해명자료를 통해 “‘광화문광장 감사의 정원’ 전체 사업비는 통합 설계 공모에 따라 당초 632억 원에서 730억 원으로 98억 원 늘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24년 9월 공유재산심의 당시 국기게양대를 포함한 국가상징공간 108억 원과 세종로공원 종합 정비 524억 원이 합쳐진 632억 원이었지만 2026년도 예산 편성 기준 ‘6·25참전국 조형물’을 포함한 국가상징공간 206억 원과 세종로공원 종합 정비 524억 원이 합쳐진 730억 원으로 늘었다.
서울시는 “국가상징공간 조성사업은 2024년 6월 대형 국기 게양대 조성 사업으로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나, 설계 공모를 통해 6·25전쟁 참전국에 감사하는 상징 조형물과 전시 공간 조성사업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6·25전쟁 참전국의 희생에 대한 감사의 상징 조형물은 대한민국 정체성인 자유와 인류 평화 구현을 통해 광화문광장을 국가중심 공간으로 조성하고자 진행 중인 사업”이라며 “지방재정법, 공유재산법에 의한 적법한 행정절차를 거쳐 정상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앞서 연합뉴스는 지난 10일 <광화문 '국가상징공간' 예산 계속 늘어 730억원…"추계 부실">이라는 기사를 통해 “10일 서울시의회 임규호 의원(더불어민주당·중랑2)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투자심사회의에 상정된 이 사업 예산은 지난해 기준 148억원에서 올해 277억원으로 증가했다”며 “또 공유재산심의 내역의 경우 작년 108억원에서 올해 187억원으로 순증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이어 “임 의원은 ‘행정절차를 요식 행위로만 추진한 결과 예산 산정이 엉망’이라며 ‘정당성이 갖춰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고 덧붙였다.
심민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