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서울시, 서울경제 "다회용기, 주문자만 회수 신청 가능·배달에 7억 쓰여" 보도에 반박

서울경제 "이용자 늘지 않아… 반납, 타인이 할 경우 휴대폰 번호 인증에 막혀"
市 "20개 자치구로 확대… 다회용기 배달 13만 건으로 매년 증가"
"회원 가입 후 별도 인증 없이 신청‧반납 가능… 다회용기 관련 소요비용, 7억 중 1.1%에 불과"

 

서울시가 '한강공원 다회용기 배달 서비스가 시민의 불편 등으로 외면받고 있다'는 취지의 서울경제 보도에 대해 28일 반박했다.

 

서울시는 서울경제의 ‘서비스 이용 가능 장소를 여의도‧뚝섬 한강공원으로 넓혔지만 이용객은 좀처럼 늘지 않는 분위기’라는 지적에 대해 “다회용기 사업을 추진한 2022년부터 올해까지 5개 자치구에서 10개 구, 15개 구, 20개 구로 꾸준히 확대됐다”면서 “다회용기 배달 건수도 2022년 3만 건에서 올해 13만 건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회수 신청은 주문자 본인 외 타인도 가능하며, 회원가입 후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신청‧반납이 가능하다”며 서울경제의 ‘회수 신청이 주문자 본인만 가능하고, 타인이 할 경우 휴대폰 번호 인증 단계에서 막히는 등 반납 시스템 이용이 쉽지 않다’는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시는 ‘사업 활성화에 투입되는 예산 42억 7800만 원 중 7억 원이 배달 분야에 쓰인다’는 보도에 “서울시 다회용기 이용 활성화 사업 국비 매칭 예산은 42억 4800만 원으로 △카페 다회용컵 이용 지원 및 문화조성 사업, △장례식장·야구장(일부)·돌봄도시락 분야 등의 다회용기 이용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 중 7억 원이 20개 자치구 다회용기 배달 지원사업 예산으로 편성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해 9월 기준, 한강 배달 다회용기 관련 소요비용은 반납함 제작 및 물류·세척비 등 약 750만 원으로 전체 7억 원 예산 중 1.1%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

 

시는 “공원 내 다회용기 배달 활성화를 위해 전국 지자체 최초로 반납함을 설치한 사례이며 사업 초기 정착을 위해 홍보 강화, 시민 인식 제고 활동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경제는 같은 날 <"있는지도 몰랐다"…7억짜리 다회용기 배달 '공회전'>이라는 기사를 통해 "다회 용기 배달 서비스가 운영 반년이 지난 현재 사실상 시민들의 외면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여의도·뚝섬 한강공원에 다회 용기 반납함까지 설치했는데도 시민들의 이용이 거의 없다 보니 ‘혈세’만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