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오는 22일부터 다음달 18일까지 전국적으로 진행되는 ‘2025 인구주택총조사’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를 향후 복지·돌봄·주거·외국인 지원 등 시민생활 전반의 정책 설계 근거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인구주택총조사는 5년마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국가 최대 규모의 통계조사로, 국가데이터처(舊 통계청)가 주관하고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수행한다. 올해 서울 지역 조사 대상은 전체 가구의 20%에 해당하는 총 87만 3727가구에 달한다.
올해 인구주택총조사는 총 55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이 중 13개 문항은 행정자료로 자동 대체돼 응답자의 부담을 줄였다. 또한 ‘비혼동거’ ‘결혼 의향’ ‘가족돌봄시간’ ‘가구 내 사용언어’ ‘한국어 실력’ ‘임대주체’ ‘자전거 보유’ 등 7개 신규 항목이 새롭게 도입됐다.
서울시는 인터넷·전화조사(오는 22일~31일)와 방문면접조사(다음달 1일~18일)를 병행하며, 이번 조사를 단순한 통계 수집이 아닌 정책 전반과 연계해 시민의 삶을 세밀하게 진단하는 정책 플랫폼으로 삼을 계획이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이번 인구주택총조사는 서울의 오늘과 내일을 함께 기록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시민 한 분 한 분의 응답이 곧 서울의 정책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AI와 데이터 기반 행정을 통해 시민이 직접 만든 데이터를 복지·주거·돌봄 등 생활정책에 반영하고, 시민참여형 데이터 행정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