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브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떠돈 허위 정보 탓에 고령층이 줄줄이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정부에서 고령층 대상으로 버스비를 무료로 지원해준다고 했는데 왜 본인은 안 되느냐는 것이다. 일부 자치구 교통비 지원 사업이 '65세 이상 전국 무료'로 와전되며 확산된 탓이다.
뉴시스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찾은 서울 한 주민센터 민원창구에서 일하는 직원은 "2주 동안 매일 2~3명이 같은 질문을 했다"며 "설명을 드려도 '유튜브에서 봤다'며 믿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고 토로했다.
서울 시내 다른 주민센터도 사정은 비슷했다. 이곳 복지과에서 일하는 홍모씨는 "6~7월 동안 하루에 10~20명이 찾아와 '강남은 되는데 우리는 왜 안 되냐'고 반복 민원을 제기했다"라며 "유튜브에서 나온 이야기를 믿지 말라는 안내문을 붙일까 생각도 했다"라고 토로했다.
인근 또 다른 주민센터에서 일하는 박모씨도 "7월 초부터 2~3주 집중적으로 30~50명이 와서 업무가 마비될 정도였다. 지금도 하루에 한두명씩은 온다"라며 "자치구마다 정책이 다르다고 설득한 뒤에야 발길을 돌린다"라고 말했다.
서울 관악구 봉천동의 한 골목에서 만난 70대 여성 박모씨는 "친구들이 카카오톡에서 버스비 준다고 해서 믿었다가, 일부 구만 해당된다는 얘기를 듣고 허탈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 60대 여성 김모씨는 "내 친구는 유튜브를 근거로 직원과 언쟁을 벌였다"라면서 "나도 뉴스를 보고서야 사실이 아니라는 걸 알았다"고 털어놨다.
현재 서울에서 교통비 지원은 강남구와 중구 등 일부 자치구에서만 시행된다. 강남구는 65세 이상에게 분기별 최대 6만원, 연간 최대 24만원까지 버스비를 환급해 준다. 중구는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수도권 시내·마을버스뿐 아니라 서울 택시 요금까지 지원하며, 월 4만원 한도로 분기별 정산해 지급한다.
노년층 정보 취약성 노려… "문해 교육 시급"
전문가들은 노년층이 가짜뉴스에 특히 취약한 이유로 세대 경험 차이와 알고리즘 구조를 꼽았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노인 세대는 정보를 접할 때 검색보다 추천 영상을 그대로 소비한다. 과거 신문·방송처럼 '틀릴 리 없다'는 매체 환경에서 자라 의심하는 경험이 없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허위정보를 반복 시청하면서 확증편향이 강화되고 특정 정보만 옳다고 믿게 된다"고 지적했다.
교육부가 19일 발표한 제1차 성인디지털문해능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60세 이상 노인 10명 중 2명은 스마트폰 같은 디지털 기기를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60세 이상 10명 중 8명은 "디지털 기기 사용이 어렵다"고 답했다. 이는 젊은 층(9%)보다 9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전문가들은 노년층의 정보 검증 능력을 높이는 교육과 제도적 장치가 병행되지 않는 한 유튜브와 SNS발 가짜뉴스 민원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았다.
유재언 가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뉴시스와 인터뷰에서 "노인들의 성향을 알고 정치적 목적으로 가짜뉴스를 만들고 퍼뜨리는 집단이 있다"며 "지자체 차원에서 노인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함께, 허위 정보가 퍼졌을 때 신속히 바로잡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유현재 교수도 "단순한 기기 교육을 넘어 허위정보를 비판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문해 교육이 시급하다"고 했다.
트루스가디언 편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