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관 이사장의 독선과 ‘자기사람’ 박기로 최대위기를 맞은 부산영화제(BIFF)가 혁신은 외면한 채 다시 586좌파 영화인의 놀이터로 회귀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조직의 사당화, 자기 사람 챙기기, 인력 착취, 성폭력으로 망신창이가 된 부산영화제가 최근엔 혁신위의 구성과 방향성을 놓고 일부 586좌파 영화인과 좌파언론 등이 개입해, 다시 586영화인 그들만의 헤게머니 싸움으로 변질되고 있는 양상이다. 영화제의 정상화를 희망하는 부산시민과 지역 젊은 영화관계자들의 바람과는 거리가 먼 시도다. 대체 국내 영화제가 중 가장 많은 액수(80억원)을 지원하고 있는 국가와 부산시민은 언제까지 봉이어야 하는가? 10년전 2014년 다큐멘터리 ‘다이빙 벨’ 논란이후, 영화제 독립성을 외치며 부산시는 간섭하지 말라 하더니 그간 영화제 안에서 무슨 일이 있었길래 자기들끼리 진흙탕 싸움을 벌이는지 부산시민들은 어리둥절하기만 하다. 서울 소재 한 영화영상학 명예교수는 “더 이상 관심도 없지만...정권이 바뀌었는데도 부산영화제를 ‘마르고 닳도록' 해 먹으려는 영화계 586세대가 문제다. 이젠 부산영화제가 그들의 숙주가 되선 안된다”며 “세대교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
윤석열 정부가 10일로 2년차를 맞았다. 출범한 지 1년이 지난 지금이야 말로 국정 철학과 가치관에 맞게 국정 전반에 드라이브를 걸어야 할 때다. 하지만 공공기관장 80% 이상이 지난 문재인정부알박기 인사들이다. 국정 철학에 맞지 않은 구 인사들이 자리만 차지한 채 봉급만 내고 있는 꼴이다. 현 정부에 반하는 활동도 서슴지 않고 하고 있다. 그래서 기관장 임기도 대통령 임기에 맞춰야 한다는 소리가 나온다. 문화 예술 분야도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나 영화, 공연계가 유독 좌파성향이 강한 데다 지난 박근혜정부 때 블랙리스트 등의 트라우마로 기관장 인사가 더디다. 영화 및 영상물 기관들은 1백% 지난 문 정부 알박기 인사들이 차지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산하 영화진흥위원회(위원장 박기용), 영상자료원(김홍준), 영상물등급위원회 (채윤희)의 기관장 3명 모두 문 정권서 임명했다. 윤 정부들어 박보균 장관이 임명돼 1년이 지났지만 영화관련 모든 정책은 문 정부의 이념 및 정책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 구 기관장들이 임기를 다 채울 경우 영진위, 영등위는 내년(2024년) 1월까지, 영상자료원은 25년 말까지 2년이나 더 남았다. 영상자료
국내 문화예술계엔 가짜뉴스가 많다. 인기 연예인의 이혼설과 스타급 배우들의 결혼설, 최근 부쩍 늘어난 사망설이 그것들이다. 여기에 하나를 추가한다.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 이른바 ‘팔길이 정책(arm's length policy)’ 이다. 이 가짜는 1998년 김대중 정부부터 윤석열정부 지금까지 25년넘게 우리 문화예술 정책 한 가운데서 전가보도처럼 무턱대고 실행해 오고 있다. 너무 그럴 듯 해 지금까지 국민들과 문화예술인, 중도 우파들이 속아 왔다. 목소리 큰 좌파 문화예술인들의 프레임에, 혹은 일방적인 주장에 아무런 검증없이 얼떨결에 따르고 있는 ‘진짜로 둔갑한’ 가짜뉴스다. ‘돈줄테니 니들 하고 싶은 거 맘대로 해’처럼 언뜻 폼나게 들리지 모르지만 다른 한편 곰곰이 생각해 보면 전혀 앞뒤가 맞지 않는 엉텅리 정책인데도 집단체면에 걸려 국민 대다수는 진짜로 알고 있다. 실제로 이 가짜뉴스는 지난 부산영화제 논란을 포함해 국내 문화예술 사건에서 진짜보다 더 막강한 힘을 발휘해 중도 우파들을 무기력하게 만들었다. ‘간섭하지 않는다’ 에 지나치게 방점을 둬 정책을 왜곡 호도했다. 핵심은 책임행정을 간과했다는 것. 즉 지원금은 공공적인 돈, 국민의
<전주영화제 집행위원장 교체로 변화 조짐> 지자체들이 새로 출범하면서 예산상의 문제로 강원도 평창영화제를 포함 제천, 강릉, 울주산악영화제가 축소및 폐지됐다. 오는 27일 개막하는 전주영화제는 집행위원장이 교체됐다. 미미하지만 의미있는 변화조짐이 있다고 봐진다. 그 동안 특정 정파를 지지한 영화인들이 자기들만의 잔치로 활용해 왔던 국제영화제가 서서히 정상을 찾아가는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이에 일부 좌파 영화인들이 늘상 그래왔던 것처럼 이번에도 영화제 축소폐지 배경에 정치적인 입김이 작동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정말 그럴까? 영화제 축소가 지자체장의 정치적인 입장만 고려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다. 지자체 장의 입맛대로 축소한 게 아니라 그간 엉터리 부정 회계, 특정 정파를 지지 해온 일부 영화인들의 독점및 부실운영, 무엇보다 지자체 시민들과 동떨어진 일부 영화인 ‘그들만 잔치’ 를 벌어 자초한 일이 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오히려 다른 보통의 영화인들은 그간 대부분의 국제 영화제들이 지자체 시민들을 위한 축제와는 동떨어진 독립영화 등 소수 집단의 사회비판 영화나 특정 정파를 옹호, 지지해 왔다고 지적한다. . 익히 알고 있는바 그간 대개의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