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9.1℃
  • 박무서울 4.8℃
  • 연무대전 6.0℃
  • 연무대구 7.1℃
  • 연무울산 8.3℃
  • 연무광주 6.9℃
  • 연무부산 9.0℃
  • 맑음고창 6.4℃
  • 맑음제주 10.5℃
  • 흐림강화 -0.4℃
  • 맑음보은 4.8℃
  • 맑음금산 4.1℃
  • 맑음강진군 8.4℃
  • 맑음경주시 7.8℃
  • 맑음거제 7.4℃
기상청 제공

미디어비평

[신문 읽기] 野, 또다시 원전 대신 태양광… 조선 "탈원전 망령 개탄"

“민주당, 세계 흐름 역행하는 탈원전에 매달려… 개탄스러워“ (조선일보)
“미래 먹거리 첨단산업, 野의 정치적 셈법에 따라 좌우… 단순 탈원전 주장은 무책임한 선동”(매일경제)
”민주당, 원전 생태계 고사시킨 정책 과오 반성해야” (서울경제)

 

 

산업통상자원부가 더불어민주당의 반대에 막혀 신규 원전 건설을 1기 축소하고 태양광 등 재생 에너지를 늘리자 조선일보는 “탈원전 망령에 붙들린 나라”라고 개탄했다. 매일경제는 “야당의 심술은 무책임한 선동”이라고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9일 <원전 1기 포기, 아직도 탈원전 망령에 붙들린 나라>라는 사설을 통해 “일부 야당 의원들이 원전 축소와 재생에너지 확대를 요구하자 산업부는 1.4GW급 대형 원전 1기를 건설하지 않고 대신 2038년까지 태양광 발전량을 확대하겠다고 수정했다”면서도 “하지만 이것마저 민주당이 계속 어깃장을 놓는다면 확정되지 못한다”고 우려했다.

 

사설은 또 “문재인 정부 시절 탈원전을 강행하면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백지화하고 원전 산업 경쟁력을 무너뜨렸다”며 “그런데도 민주당은 세계 흐름에 역행하면서 실패한 탈원전에만 매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에너지 안보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된 시대에 원전 없이 어떻게 질 좋고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겠다는 건가”라며 “문재인 정권이 끝난 지 3년이 돼가는데 아직도 나라가 탈원전 망령에 붙들려 있다는 사실이 개탄스러울 뿐”이라고 밝혔다.

 

매일경제도 이날 <野 몽니에 원전 축소…AI·반도체는 무슨 수로 키우나>라는 사설에서 “국가 경쟁력과 미래 먹거리를 결정하는 첨단산업 운명이 야당의 정치적 셈법에 따라 좌우되는 셈”이라며 “단순히 원전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늘리자는 주장은 무책임한 선동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그동안 원전 건설 계획 등을 문제 삼아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한 국회 보고 일정을 잡지 않는 방식으로 정부를 압박해왔다”며 “일부 의원들은 원전 건설 축소와 함께 재생에너지 확대를 요구했다”고 전했다.

 

사설은 “바람에 따라 햇볕에 따라 발전량이 들쑥날쑥한 재생에너지는 인공지능(AI)·반도체 시대의 전력 공급을 책임질 수 없다”며 “세계 각국이 원전 건설에 투자하는 이유를 민주당은 연구해보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서울경제는 <‘계속 원전’도 유야무야…이념 벗어나 에너지 백년대계 세워야>라는 사설을 통해 “주요국들은 인공지능(AI) 혁명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과 에너지 안보 등을 고려해 원전 산업 육성에 총력전을 기울이고 있다”며 “특히 원전 수명 연장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강조했다.

 

사설은 “민주당은 원전 생태계를 고사시킨 정책 과오를 반성하면서 원전 산업의 부활을 위해 적극 협력해야 한다”며 “2030년까지 1차 운영 허가 기간이 끝나는 우리나라 원전은 총 10기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어 “최초 허가 기간이 만료됐다고 곧바로 폐기한다면 막대한 손실을 입고 그 피해는 국민들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민주당이 ‘수권 정당’을 지향하려면 원전산업지원특별법과 고준위방사성폐기물관리특별법 처리를 위해 협조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