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일 여야의 철도 지하화 공약에 대해 재원이 불투명하다는 비판에 대해 “재원을 감안한 공약이고, 실천하겠다”라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이야기하는 수원 철도 지하화 같은 건 상당 부분 민간투자 유치하는 방식”이라며 “재원 계획 같은 부분이 충분히 준비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위원장은 전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정부여당은 약속할 게 아니라 실천하면 된다’라는 지적에 "정부여당이라는 강점을 잘 이해했다. 저희는 실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민주당이 내놓은 철도 지하화 공약에 대해 “모든 철도를 지하화한다고 말하던데, 재원을 충분히 고려한 상태에서 그런 공약이 나와야 한다”라며 “이 대표가 말하는 것을 보면 그 재원은 뭐 일본의 버블시기와 같이 재원이 무한정 있다는 전제 하에 말씀하시는 것 같다”라고 지적했다.
한 위원장은 앞서 본인이 국회의원 보수(세비)를 국민 중위소득 정도로 하자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 “중위소득으로 세비 받는 게 만족스럽지 않다면 국회의원 일을 못 하겠다는 사람들은 정치하면 안 되는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보좌관 등 인력이 충분히 공급되고 업무에 필요한 비용이 지급되고 있다”며 “국회의원이 정상적으로 일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전혀 없고, 집에 가져가는 것만 줄이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한 위원장은 ‘대통령·법무부 장관 세비부터 깎자’는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의 발언에 대해서는 “이건 그냥 ‘싫으면 시집가’ 수준의 이야기”라며 “우리가 말하는 건 정치인 특권 내려놓기”라고 설명했다.
한 위원장은 민주당이 이번 총선에 적용할 비례대표 방식 등의 선거제 개편안을 전 당원 투표로 결정할지 논의할 예정인 데 대해선 "민주당에 갈 걸 그랬다”라며 “정치하기 너무 편할 것 같고 말을 바꿔도 되고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되는 것 아니냐"고 비꼬았다. 그는 "본인들의 핵심 공약이었던 것 같은데 '권역별' (비례대표제라고) 붙이는 것은 원래대로 돌아가기 창피해서 그러는 것"이라며 "국민들이 그것을 모르실 것 같냐"고 반문했다. 이어 "기본적인 부끄러움은 알았으면 좋겠다"며 "총선까지 68일 남았는데 아직도 이렇게 있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한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7일 방송사 단독 대담 형식으로 각종 현안 입장을 밝히는 방안을 유력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에 대한 '대담으로 충분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내가 평가하고 판단할 문제가 아닌 것 같다"며 "여러 상황을 감안했을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일각에서 이번 대담을 통해 윤 대통령의 김건희 여사 관련 유감 표명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 "나는 내 입장을 충분히 밝혔다"며 말을 아꼈다.
심민섭 기자 darklight_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