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흉기에 피습된 후 부산대병원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소방 헬기를 타고 이송된 것과 관련해 부산광역시 의사회에 이어 서울특별시의사회(서울의사회)와 광주광역시의사회(광주의사회)도 성명서를 발표했다.
서울의사회는 5일 ‘이재명 대표 헬기 특혜이송,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성명서에는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는 보건복지부 평가에서 4년 연속 A등급을 받은 국내 최고 수준의 한국형 외상센터이자 부산시민뿐만 아니라 지역 건강을 책임지는 최고 의료기관"이라며 "이재명 대표 테러사태 이후 무리하게 헬기 이송을 벌인 것은 자칫 응급한 환자의 위중한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는 위험천만한 결정이었다"고 비판했다.
서울의사회는 "거대 야당 대표가 정작 본인에게 위급 상황이 닥치니 의료전문가의 의견을 무시하고 가족이 원한다는 단순한 이유로 지역 최고 중증외상센터의 치료를 외면하고 응급 헬기를 타고 서울대병원을 찾아 날아가버리는 모습을 보여줬다"며 "이재명 대표의 헬기 특혜이송은 모든 국민이 지키는 의료전달체계를 뛰어넘는 선민의식과 내로남불 행태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산시의사회에서 '이 대표의 헬기 특혜이송이 지역의료계를 무시하고 의료 전달체계를 짓밟았다'는 데에 십분 공감하며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의료진의 의학적 판단에 반하는 구급차나 헬기 이송은 환자가 전액 비용을 부담하는 원칙이 필요하다”고 했다.
광주의사회도 같은 날 ‘공정과 기회 박탈, 특권의식의 정석, 더불어민주당’이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광주의사회는 "부산대병원 의료진의 만류에도 이 대표를 119구급 헬기를 이용해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했다"며 "전형적인 특권의식에 몰입된 행동이자 내로남불의 정석이다"고 했다.
광주의사회는 "응급의료시스템에 따라 이 대표는 사고 발생 지역 상급 종합병원이자 권역외상센터인 부산대병원에서 치료받아야 했고, 환자나 보호자의 전원 요구가 있을 경우 일반 운송편으로 연고지 병원으로 이송돼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도 이 원칙을 준수해야 할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다른 응급 환자가 헬기를 이용할 기회까지 박탈했다"고 지적했다.
광주의사회는 "민주당은 수술을 잘하는 곳에서 해야 할 것이라며 부산대병원과 지역의료를 비하하는 발언까지 서슴지 않았다"며 "지역의료를 살려야 함을 강조하고 지역의사제와 지역 공공의대 설립을 입법 추진하던 민주당은 이번 일을 통해 자신도 지키지 못하는 정책을 추진했음을 전 국민에게 알리게 됐다"고 했다. 또한 "테러나 폭력은 어떠한 이유로든 정당화될 수 없고, 큰 사고를 당한 이 대표의 쾌유를 진심으로 기원한다"며 "의료시스템 개선을 위한 논의도 의료계와 함께 시행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심민섭 기자 darklight_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