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지원해 온 시민단체가 2021년 받은 기부금 1억5,000여 만원 중 피해자 측에 직접 지원한 사업비는 420여만원에 불과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에는 이 단체의 관리 운영비가 전체 지출액의 약 77%를 차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동아일보가 사단법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이사장 이국언)의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를 분석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 단체는 한 해 수입액 1억6,664만여원 가운데 약 6,437만원을 지출했다. 이 중 양금덕 할머니를 대표 지급처로 세운 ‘(피해자) 방문 및 지원사업’에는 전체 지출액의 0.06%인 427만9,350만원을 썼다.
‘이사장을 비롯한 상근직의 인건비’가 약3,205만원으로 지출액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일본어판 자서전 출간(약 1050만 원)과 관리운영비(약 524만 원), 회원사업비(약 479만 원) 순으로 지출됐다.
2022년 명세서는 전년과 달리 세부 명세가 없이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 관리운영비와 사업비만 기재돼 있다. 관리운영비는 8,599만여 원, 사업비는 2,576만여 원으로 각각 지출액의 약 77%, 23%를 차지했다. 사업비 지급처와 관리비 지급처는 모두 공란이었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이 단체의 도움을 받은 일부 피해자 가족은 “말은 지원 단체인데 받아 본 게 행사 참여했을 때 갈비탕 한 그릇, 명절에 보내오는 사과 박스가 전부여서 섭섭했다”고 말했다.
이 이사장은 “별도의 운영 회계 없이 단체는 100% 기부금으로만 운영된다”며 피해자 지원사업 지출에 대해 “세세한 운영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말했다.
지난해 세부 관리운영비와 사업비 명세, 지급처를 공개하지 않은 배경에 대해서는 “혼자서 상근을 하다 보니 ‘써야지’ 해 놓고 누락된 것 같다”고 밝혔다. ‘공익법인의 지출액보다 잔액이 많은 이유’에 대해서는 “피해자 할머니들을 직접 지원하는 것 외에 우리 사업으로 역사관이나 자료관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누적으로 비축해 둔 돈”이라며 “아직 재원이 많은 단체가 아니다 보니 다른 사업들을 준비하기 위한 금액으로 이해해 주길 바란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