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가 인공지능 (AI) 윤리 경쟁에 나섰다.
구글은 지난 10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I/O2023’을 통해 “AI를 시작부터 책임 있게 개발하고 사용하겠다”는 원칙을 발표했다.
구글은 올해 초부터 MS와 오픈AI가 빠른 속도로 대화형 AI서비스 등을 내놓는 것에 대해 ‘책임감’을 강조했다. 프라바카르 라가반 구글 수석부사장은 올해 2월 10일 독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긴급하지만 더 큰 책임감도 느낀다”고 했다. 그만큼 AI 윤리를 강조하는 '책임감'을 여러번 언급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구글은 구체적인 방안으로 허위 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언급했다. 구글 검색 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앱)에 이미지 파일을 올리면 원본 출처 등을 확인해 이용자가 합성이나 조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만한 근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구글은 올해 안에 이 기능을 적용해 일반 이용자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MS도 구글과 마찬가지로 책임 있는 AI를 핵심 가치로 제시하고 나섰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공정, 신뢰, 보안, 포용, 투명, 책임 등 6가지 원칙을 기반으로AI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AI 윤리 경쟁이 심화된 것은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규제 움직임을 감안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AI기업 경영자를 4일 백악관으로 초청해 “책임 있는 혁신”을 강조했다. 정부 차원에서 AI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고 “AI는 우리 시대의 가장 강력한 도구 중 하나이지만 기회를 잡으려면 우선 위험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윤석열 정부도 AI 윤리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서울 중구 제네시스랩에서 ‘AI윤리·신뢰성 강화를 위한 현장간담회’를 열었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2020년 사람 중심의 AI구현을 위해 AI권고안을 반영해 3대 원칙·10대 요건으로 구성한 AI윤리기준을 수립해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