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른바 '조희대-한덕수 회동 의혹’에 대해 부인했음에도 더불어민주당이 연일 증거도 없이 압박하자, 언론은 민주당을 향해 증거 제시를 촉구하고 있다. 경향신문은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증거도 없이 의혹 제기에 앞장서도 되나”라고 반문했다. 한국일보도 국회의원이 책임감 없이 말을 가볍게 해도 되는지 의문을 표했다. 반면, 한겨레는 불신을 자초한 조 대법원장이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향신문은 19일 <미확인‘조희대·한덕수 회동설’, 여당 대표가 제기할 일인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내란 특검은 현재로선 수사 계획이 없다고 밝힌 터”라며 “사흘째 근거 제시 없이 ‘익명의 제보’라며 의혹 제기만 이어가는 건 무책임하고, 이것이 여당 대표가 앞장설 일인지 묻게 된다”고 꼬집었다.
사설은 “‘사실이라면’ ‘억울하면’이란 가정을 전제로 조 대법원장의 사퇴를 압박하고, 의혹 해소 책임을 지우는 것은 현재로선 과도한 정치공세”라며 “4개월 전 유튜브에서 제기된 의혹에 새 증거가 있으면 제시하고, 익명의 녹취록과 관련 자료를 수사기관에 넘기는 게 옳다”고 밝혔다. 이어 “여당 대표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로 사법부를 압박하는 정치공세를 자중해야 한다”고 다시 한 번 당부했다.
한국일보도 이날 <우격다짐 사법부 압박...집권당의 책임 있는 행동 요구된다>는 사설을 통해 “제보 출처와 근거 자료를 즉각 밝혀야 한다. '아니면 말고' 식으로 넘어갈 일이 아니다”라며 “헌법기관인 여당 국회의원의 발언이 책임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일개 유튜버처럼 가벼워서야 되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지도부 대응은 상식 밖이다. 근거도 없는 의혹을 제기해 놓고 스스로 해소하라니 이런 적반하장이 있을 수 있나”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사설은 또한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법’을 발의한 민주당에 대해 “강경파 의원들이 총대를 메고 나서고, 당 지도부는 여론을 의식해 ‘당 공식 입장이 아니다’며 선을 긋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라며 “민주주의 기본 원칙과 국민을 우습게 보고 있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반면, 한겨레는 <민주당 ‘의혹 근거’ 밝히고, 대법원장 ‘국민 우려’ 답해야>라는 사설에서 “중차대한 사안인 만큼 의혹 제기는 신중해야 한다”면서도 “조 대법원장도 이번 의혹에 대한 해명에 그칠 게 아니라 사법부 불신의 원인이 되고 있는 근본적 문제에 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설은 “지금 조 대법원장과 사법부에 국민적 우려가 집중되는 이유는 내란 청산 과정에서 헌법 수호 의지를 의심케 하는 일련의 행태를 보였기 때문”이라며 “조 대법원장이 국민적 불신을 부른 핵심 사안들에 대해 책임 있는 해명과 사과를 하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