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듣기 싫은 진실보다, 듣기 좋은 거짓을 선호"… 가짜뉴스의 심리학

자신과 의견이 비슷한 내용을 접하면 진위 여부 따지기 전에 쉽게 믿어 버려

 

가짜뉴스가 쉽게 퍼지고 가짜뉴스로 인한 폐해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거짓임을 알면서도 가짜뉴스를 사실로 받아들인다는 데 있다. 전문가들은 정보 소비자들의 심리적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는다.

 

첫째 이른바 ‘확증편향’의 문제다. 사람은 자신이 이미 믿고 있는 생각이나 신념을 확인해주는 정보에 더 잘 반응한다. 자신과 의견이 비슷한 내용을 접하면 진위 여부를 따지기 전에 쉽게 믿는다. SNS의 알고리즘도 이런 편향을 강화한다.

 

또 반복해서 들은 내용, 익숙한 정보가 진짜처럼 느껴지는 ‘인지적 편안함’의 문제가 있다. 많이 노출된 정보는 의심하지 않고 믿게 되는 경향이 있다는 얘기다. 낯익은 것이 거짓이라도 인지적으로 더 쉽게 받아들이는 이유가 된다.

 

대체로 사람들은 빠르게 떠올릴 수 있는, 많이 들어본 정보를 더 믿게 되고, 객관적 검증보다는 기억에 의존해 상황을 판단한다. 이를 ‘가용성 편향’이라고 한다.

 

같은 사실을 어떻게 보여주느냐(프레이밍)에 따라 반응이 달라지는데, 표현 방식이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 믿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그럴싸한 내용이 더 진짜같이 여겨진다. 이를 ‘프레이밍 효과’라고 한다.

 

자신의 집단을 지키거나 타 집단을 배척하려는 동기 때문에 거짓임을 알면서도 '믿고 싶은' 정보를 믿는 경우도 많다. 현재 유튜브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수감 중에, 박근혜 전 대통령이 면회를 갔다는 거짓 쇼츠 영상이 버젓이 올라와 있는데,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믿고 싶은’ 동영상이기에 계속 소비되는 것이다.

 

그밖에도 정보 과부하와 피로감 즉, 너무 많은 정보에 노출되면 일일이 검증하는 게 어려워져 단순하고 자극적인 가짜뉴스에 더 쉽게 속아 넘어간다. 또 자기만 모르는 것이 분할까봐, 혹은 자신의 주장을 강화하거나 주목받고 싶어서 그럴싸한 거짓 주장을 퍼뜨리기도 하며, 지적 겸손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이런 경향이 강하다고 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듣기 싫은 불편한 진실보다는 듣기 좋은 거짓을 선호하며, 불확실한 상황이나 불안한 시기에는 가짜뉴스가 더욱 힘을 발휘한다”고 설명했다.

 

송원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