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지난 12일부터 시작되자, 포퓰리즘 공약보다는 새로운 경제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조선일보는 “경제 성장을 위해선 경제계의 건의를 듣는 척이라도 해야 한다”고 밝혔다. 동아일보도 “선심성 표퓰리즘(득표+포플리즘) 공약이 대부분”이라고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13일 <'성장' 안 보이는 공약, 경제계 건의 듣는 척이라도>라는 사설을 통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경제 강국’,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기업하기 좋은 나라’,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일 잘하는 정부’를 제1 공약으로 제시했다”면서도 “구체성이 부족하고, 실현 가능성도 의문이다. 무엇보다 새로운 성장 전략이라고 할 만한 내용이 없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대선을 앞두고 경제 5단체가 공동으로 정책 제언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기업들이 국내외 현장 상황을 반영해 뽑아낸,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정책 대안들”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재정 적자 상황인데도 각종 포퓰리즘 공약으로 앞으로 70조~100조원이 더 소요될 전망”이라며 “불가능한 일을 밀어붙이면 경제 암을 키운다. 대선 후보와 각 정당은 경제 분야만큼은 경제 5단체의 절박한 건의를 듣는 척이라도 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동아일보도 이날 <막 오른 6·3 대선… ‘분열 대신 통합’ ‘선심 아닌 민생’ 대결 펼치라>라는 사설에서 “각 당과 후보는 몇 마디 통합 메시지 뒤에 ‘내란 종식’과 ‘반(反)이재명’을 외치며 증오와 적대의 언사를 쏟아붓고 있다”며 “상대만 헐뜯는 식의 경쟁에선 그 어떤 통합의 의지도 찾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런 극심한 정쟁 속에 구체적인 재원 대책도, 실현 방안도 없는 공약이 난무한다”며 “주요 공약들을 뜯어보면 대규모 재정 투입이 불가피한 선심성 표퓰리즘 공약이 대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사설은 “실현 못 할 약속과 남 탓만 하는 비방의 홍수 속에서도 국민은 어느 후보가 진정 작금의 혼란과 불확실성을 넘어 어제보다 나은 내일을 만들 인물일지 신중하게 고르고 있다”고 전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