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대선이 확정된 가운데, 야권에선 김두관 전 경남 지사가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김 전 지사는 7일 "윤석열 파면으로 혹독한 내란의 겨울이 끝났다"며 "'개헌 대통령'이라는 이름으로 출마를 결심했다. 제7 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제7 공화국을 위해 임기를 2년 단축해야 한다면 기쁘게 받아들이겠다"며 "대한민국의 대전환, 국가 대개혁을 위해 개헌을 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야권 대선주자는 이재명 대표가 오를 게 확실시되지만 김 전 지사는 ‘임기 단축 개헌’을 무기로 이 대표와 각을 세우게 됐다.
그는 "윤석열 계엄에 반대하고 탄핵에 찬성했던 압도적 다수의 힘으로 '국민연합 정권교체', '국민연합 국가대개혁'에 나서야 한다"며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으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 결과가 예정된 선거는 민주주의가 아닌 정치 후진국에서나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남해군 이장을 시작으로 남해군수, 행정자치부 장관, 경남도지사, 재선 국회의원을 지내며 진보 실용 정치 노선에서 한 번도 벗어난 적 없다"며 "중도 확장성이 가장 높은 본선 필승 후보로, 국민통합·정권교체·개헌을 해낼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6공화국 대통령 8명 중 구속되거나 파면된 대통령 4명이 모두 보수 정당 소속이었다"며 "두 번 연속 대통령 탄핵을 초래한 국민의힘은 이번 대선에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전 지사는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범좌파 진영 ‘오픈프라이머리’ 실시도 촉구했다. 이것 역시 이 대표와 선을 긋는 행보다. 주요 공약으론 ▲ 국가가 국민의 기본 생활과 안전을 책임지는 '국민생활보장사회' ▲ 신성장동력·과학기술 투자 ▲ 청년기본자산제도 ▲ 전국에 서울대학교급 대학 10곳 만드는 교육 혁신 ▲ 연방제 수준 자치 분권 등도 공약했다.
송원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