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일본이 지난 7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것에 비해 한국은 정상통화조차 하지 못한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앙일보는 “미국과의 소통을 확대해 한·미·일 관계에서 한국이 패싱되지 않도록 해야한다”며 당부했고, 서울신문은 “북한 비핵화 등 현안에 대해 한국의 의견 없이 다른 나라가 정하는 상황이 비정상적”이라고 지적했다. 경향신문은 “’12.3 비상계엄’의 파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관료들이 치밀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일보는 10일 <‘아부의 기술’까지 구사한 일본, 정상 통화도 못 한 한국>이라는 사설을 통해 “대통령 탄핵 정국 여파로 최상목 권한대행은 트럼프와 전화통화조차 못 한 상태”라고 전했다. 이어 일본과의 협력을 통해 우리의 입장을 미국에 전달했다고 발표한 외교부에 대해 “한국의 국가 이익과 관련한 사안을 일본에 의탁하는 건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동북아 안보를 둘러싼 한·미·일 협력 축에서 한국이 패싱 당한 채 미국과 일본에 의해 끌려다니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우려도 있다”라며 “이럴 때일수록 미국과 소통을 확대함으로써 한국의 목소리를 잃지 않으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신문은 이날 <미일 “北 완전 비핵화”, 상호관세… 한국은 안 보인다>라는 사설에서 “이번 회담의 큰 방향은 중국 견제를 목표로 하는 미일동맹 강화와 미일 경제적 연대 확대로 요약된다”며 “북한 비핵화 등 현안을 당사자인 우리가 빠진 가운데 다른 나라의 정상들끼리 결정하고 있는 상황 자체가 비정상이자 국익 훼손”이라고 우려했다.
사설은 “트럼프 2기의 동북아 안보·경제 질서 재편에서 한미일 협력 구도가 우리에게 불리하게 조정될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경향신문은 <상호 관세 예고한 트럼프, 만반의 대비 해야>라는 사설을 통해 “이시바 총리의 대미 투자 확대와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등 ‘선물 보따리’를 근거로 한국엔 더 큰 청구서를 내밀 수 있다”고 예상했다.
사설은 “‘트럼프 폭풍’이 임박한 상황이지만 한국은 윤석열 계엄·내란 시도에 따른 파장이 지속되고 있다. 그렇다고 무방비로 ‘트럼프 폭풍’에 휩쓸리는 사태는 막아야 한다”며 “통상관료들이 치밀한 통상전략을 세워줄 것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