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3.2℃
  • 맑음강릉 4.8℃
  • 박무서울 6.0℃
  • 연무대전 7.1℃
  • 박무대구 4.0℃
  • 맑음울산 3.7℃
  • 박무광주 5.9℃
  • 맑음부산 7.5℃
  • 맑음고창 0.4℃
  • 구름많음제주 7.0℃
  • 맑음강화 4.9℃
  • 구름많음보은 3.6℃
  • 구름많음금산 6.0℃
  • 맑음강진군 2.1℃
  • 맑음경주시 1.3℃
  • 맑음거제 5.5℃
기상청 제공

미디어비평

[신문 읽기] 무안 항공 참사에 일제히 "초당파적 수습해야"

“野, 더 이상의 탄핵으로 행정부 무기력하게 만들면 안돼” (중앙일보)
“섣부른 추측·음모론 자제해야…피해자·유족에게 2차 피해 주지 않는 길” (한국일보)
“조류 충돌 위험성 큼에도 전담 인력 턱없이 부족했던 점 따져봐야” (한겨레)
“한국공항공사 사장 8개월째 공석…대행 체제 운영이 사고와 관련 없는지 조사해야” (조선일보)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태국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의 안타까운 대형 참사가 일어나자 언론이 일제히 “신속하고 초당파적 수습을 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중앙일보는 30일 <비상 시국에 최악 항공 참사…초당파적 수습 나서라>라는 사설에서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탄핵소추로 사상 초유의 ‘대행의 대행 체제’가 이뤄진 와중에 안타까운 대형 참사가 일어났다”면서 “사고 수습을 총괄할 컨트롤타워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제대로 돌아갈지 걱정이 앞선다”고 우려했다. 

 

사설은 “사고 직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무총리 직무대행으로서 중대본 본부장을 맡았다”며 “이런 경우 행안부 장관이 차장으로서 보좌해야 하지만 공석이라 행안부 차관이 대행했다. 수습을 지원해야 할 경찰청장도 공석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야당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저지하고 탄핵 소추로 직무를 정지하는 데 큰 역할을 했지만, 더 이상의 과도한 탄핵으로 행정부를 무기력하게 만들어선 곤란하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국민 불안이 가중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국일보도 이날 <국정공백 속 제주항공 추락 참사, 침착·신속한 대응을>이라는 사설을 통해 “항공사고는 진상 규명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섣부른 추측이나 음모론 제기를 자제하고 침착하게 조사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며 “그것이 피해자와 유족에게 2차 피해를 주지 않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사설은 “사고 직후 여야는 대책 기구를 당내에 각각 두기로 하는 등 초당적 협력·대응과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였다”며 “불법 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이라는 비상시국에 여야가 이번 참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하는 일만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한겨레는 <‘무안 제주항공 참사’ 통탄한다>라는 사설에서 “동체 착륙을 할 경우 공항당국이 미리 화재에 대비해야 하는데 이번엔 그런 과정이 없었던 점도 의문”이라면서 “또 무안공항은 인근에 겨울 철새가 자주 찾는 갯벌 등이 있어 조류 충돌 위험성이 큰데도 이에 대응할 전담 인력은 턱없이 부족했다는 점도 따져볼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사설은 “대통령은 물론이고 재난 안전을 담당하는 행정안전부 장관도 권한대행 체제”라며 “그럼에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정부와 정치권이 사고 수습과 원인 규명에 온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선일보는 <정부 유고에 겹친 참사, 황망할 따름>이라는 사설을 통해 “조류 충돌만으로 이 정도 참사가 발생할 수 있는지 충격을 감출 수 없다”며 “조류 충돌은 여타 공항에서도 발생할 가능성 때문에 방지에 총력을 다하는 사안인데, 왜 이 공항에서만 대형 사고로 이어졌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사설은 “무안공항을 관리하는 한국공항공사는 지난 4월 문재인 정부 시절 취임한 전임 사장이 뒤늦게 사표를 낸 이후 8개월째 공석이었다”면서 “대행 체제로 운영 중인 것이 이번 사고와 관련성은 없는지도 충분한 조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