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여론조사 결과 난립을 방지하기 위한 움직임 중인 가운데, 여론조사기관들이 자발적으로 기준을 제시했다.
한국조사협회(회장 조일상)는 지난 20일 자체 제정한 '정치선거 전화여론조사기준'을 공표했다고 밝혔다.
국내 34개 주요 조사회사 가입 단체인 한국조사협회가 자체적으로 정치선거 전화여론조사기준을 마련하고 준수할 것을 선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최근 일고 있는 정치선거 여론조사에 대한 신뢰성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한국조사협회는 밝혔다.
한국조사협회의 정치선거 전화여론조사기준은 정치선거 여론조사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요건을 전문(前文)과 5개 부문(조사와 조사자 요건, 조사방법, 설문지 구성, 자료수집, 가중값과 결과 활용)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선거여론조사 기준보다 엄격한 기준과 함께 새로운 내용도 담고 있다.
이번 정치선거 전화여론조사기준에서 가장 주목되는 사항은 응답률 관련 내용이다. 기준에 따르면 응답률은 조사과정 관리의 엄격성을 진단할 주요한 요건이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선거여론조사기준상의 응답률로 전국 단위 조사에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할 경우 최소 10% 이상, RDD(Random Digit Dialing, 전화번호 임의걸기)를 이용할 경우 최소 7% 이상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조사협회에서 이번에 제시한 응답률 기준은 그간 정치권 등에서 요구한 정치선거 여론조사 공표 요건으로서 응답률에 대한 조사회사의 공식적인 입장 표명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는 설명이다.
김태훈 객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