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하자 중국 내에서 '소금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염업협회 이사장은 “국내 소금 생산량이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한국민의 방식을 흉내 내지 않기를 바란다”며 한국 소비자의 행태를 비꼬기도 했다.
25일 중국 내 지역 매체와 소셜미디어(SNS) 등에 따르면 지난 24일 오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시작한 전후로곳곳의 소매점 내 소금 매대가 텅 빈 모습이 속속 목격되는 등 소금 사재기 및 품귀현상이 빚어졌다. 일부 매장에서는 소금을 사려는 이들이 몰려 육탄전을 벌였다.
또 산둥성 웨이하이항 근처 시장에서도 소금을 사기 위해 수백명의 인파가 몰렸다. 다수 유명 온라인 쇼핑몰에서 소금이 품절됐고 마트 등에서도 공급 부족 사태가 발생했다.
베이징일보 등 중국 현지 언론은 일부 위챗(중국판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소금 사재기 정보를 공유하며 불안감을 조성해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중국 국영 소금생산 기업인 중국염업그룹은 성명을 통해 시장 공급량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사회각계는 이성적으로 소비하고, 맹목적인 사재기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염업그룹은 "최근 일부 지역 시장에서 소금 사재기가 발생해 일부 온라인쇼핑몰과 마트 등에서 단기간 물품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면서 "우리는 초과 근무를 하며 생산·배송을 추가하면서 시장 공급을 보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중국 식용소금 구도를 보면 정염(우물에서 생산되는 소금)과 암염이 87%, 호염이 3%, 해염는 10%를 차지한다“면서 ”정염과 암염 및 호염은 원전 오염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왕샤오칭(王小青) 중국염업협회 이사장은 “국내 소금 생산량이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한국민의 방식을 흉내 내지 않기를 바란다”며 한국의 일부 소비자 행태를 은근슬쩍 비난하면서 스스로 경계심을 내비췄다.
중국 소비자들은 일본 브랜드의 화장품과 의류, 육아용품 등에 대해서도 불안감을 표시하고 있다. 중국 SNS에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영향을 받는 일본 브랜드’ 목록이 정리돼 널리 공유되고 있다. 이에 화장품 브랜드 카오(중국명 화왕), SK-II, 슈에무라 등은 “우리 제품은 오염수 방류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며 “안심하고 사용하고 구매해달라”며 진화에 나섰다.
소금 사재기 현상은 이미 한국에서 나타었다. 지난 6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발표 이후 온라인 쇼핑몰과 대형마트 등에서 소금 품귀 현상이 나타났고, 쿠팡 등 일부 온라인 유통 플랫폼은 소금 구매량을 1인당 1개로 제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