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가짜뉴스·괴담 방지 특별위원회가 22일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유포되는 가짜뉴스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국민의힘 미디어정책조정특별위원회는 미디어미래비전포럼, 새미래포럼, 자유언론국민연합과 공동으로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가짜뉴스 괴담, 무엇을 노리나 - 산업이 된 가짜뉴스'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구종상 동서대 방송영상학과 특임교수를 좌장으로 김기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가 '후쿠시마 처리수 배출 문제를 통해 바라본 낭설 유포 유형'을 주제로,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가 '가짜 뉴스(Fake News)와 인공지능(AI)' 주제로 발표했다.
토론자로는 이홍렬 공정언론국민연대 공정방송단장, 허연회 방송통신심의위원, 허민 문화일보 전임기자, 고진현 전 스포츠서울 편집국장, 원영섭 국민의힘 미디어법률단장이 참여했다.
김기현 교수는 후쿠시마 처리수를 예시로 들며 과학적 분석과 국제 사회의 다각적 노력, 국가에 대한 불신을 지적했다. 이에 "낭설 제기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경전 교수는 "AI와 가짜뉴스가 양날의 칼의 관계에 놓여있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가짜뉴스는 여야, 보수와 진보, 좌파와 우파가 따로 없다"며 "가짜 뉴스를 자동으로 감지할수 있는 소셜 봇 탐지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홍렬 공정방송단장은 "방송과 언론이 후쿠시마 선동의 조력자로 나섰다"면서 "오염수 보도에 전문가는 없고 좌파 단체의 목소리만 가득했다"고 비판했다.
허연회 방심위 위원은 "방심위의 '거북이 심의'로 가짜 뉴스 구제 수단이 무력화되고 있다"고 맹공했다. 또 "방심위 심의 지연의 원인은 방심위 위원 구성의 문제"라며 "방심위의 지연은 의도적인 지연 전술"이라고 했다.
허민 문화일보 전임기자는 "정치적 목적의 가짜뉴스의 종착점은 권력 탈취"라고 했다. 고진현 전 스포츠서울 편집국장은 가짜뉴스의 경제적 이익을 강조했다.
원영섭 미디어법률단장은 '미국 대선 가짜뉴스'를 퍼뜨린 폭스뉴스를 예로 들며 "가짜뉴스 민사 손해배상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김장겸 특위위원장은 "가짜뉴스가 불손한 세력에 의해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 잡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언론의 자정 노력과 시민의 분별력에 바탕을 두고 실효성 있는 가짜뉴스 퇴치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