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6.0℃
  • 흐림강릉 14.6℃
  • 서울 16.0℃
  • 맑음대전 17.5℃
  • 구름조금대구 17.3℃
  • 구름조금울산 19.5℃
  • 구름많음광주 18.4℃
  • 맑음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18.4℃
  • 제주 16.0℃
  • 구름많음강화 13.8℃
  • 맑음보은 15.7℃
  • 구름조금금산 15.0℃
  • 흐림강진군 17.7℃
  • 구름조금경주시 18.6℃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윤 대통령 방일 관련 가짜뉴스 2題, 단순 실수? 의도적 조작?

KBS 등, 독도, 위안부 문제 등 확인되지 않은 의제가 마치 포함된 듯 단정적 보도
교묘하게 일장기만 보이는 사진 제시하며 굴욕외교, 의전실수라고 공격

 

 

(위와 같은 사진을 아래와 같은 사진처럼 보이도록 함)

 

 

한일정상회담을 위한 윤석열 대통령 방일과 관련, 독도 문제 논의 등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단정적으로 보도하거나 윤 대통령이 일장기에 절을 하는 굴욕외교를 했다는 가짜뉴스를 퍼트려 파문이 일고 있다.

 

일본 언론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16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독도 문제를 언급하고 한일 위안부 합의 이행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으나 대통령실은 "그런 적이 없었다"라고 부인했다.

 

공영 NHK는 ‘기시다 총리는 (윤 대통령과) 회담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과거 양국 간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한국 측에게 요구했다’라고 보도했다. 이어 ‘시마네(島根)현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 명)를 둘러싼 문제에 대해서도 일본의 입장을 전달했다’라고 전했다.

 

이에 KBS는 17일 “한일 정상회담과 공동 기자회견 후 일본 정부 관계자가 자국 기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하는 자리에서 ‘기시다 총리는 한일간 현안에 대해 잘 대처해 나가자는 취지를 밝혔다. 이 사안들 중엔 독도 문제도 포함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라고 보도했다. KBS는 또 “(이 관계자는) ‘위안부 문제도 한일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요구했다’고 전했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독도 이야기는 전혀 없었다"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독도 영유권은 (논의할) 이슈 자체가 없었다"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소인수회담에서는 외교안보 위주, 확대정상회담에서는 경제산업 위주였다"며 위안부 합의에 대한 논의가 나오기 힘든 상황이었다고 반박했다. 확인되지 않은 민감한 역사적 문제를 무리하게 보도했다는 것이다.

 

한편 문재인 정부 청와대 의전비서관 출신 탁현민씨는 윤 대통령 방일 첫날인 16일 자신의 SNS에 교묘하게 일장기만 보이도록 찍힌 사진을 올린 채 윤 대통령이 일장기에 절을 했다며 공격했다. 실제로는 윤 대통령이 의전상 당연히 하는 양국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한 것을 “의전 실수”라 표현하면 비난한 것이다.

 

같은 날 KBS 역시 ‘윤석열 대통령이 일장기에만 절을 했다’는 취지로 해설을 내보내 온라인상 가짜뉴스를 크게 확산시켰다가 뒤늦게 사과방송까지 내보내는 일까지 벌어졌다.

 

윤 대통령은 당시 한·일 정상회담을 위해 총리 관저를 찾았다. 윤 대통령은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만나 확대 정상회담 전 의장대의 사열을 받은 후 일장기와 나란히 걸려있는 태극기에 경례했다. 이후 기시다 총리와 함께 일장기와 태극기를 향해 허리를 숙여 목례했다. 당연히 하는 의전 절차였다. 

 

이에 대해 KBS는 윤 대통령이 일장기에만 경례한 것처럼 보도했다. 당시 첫 행사였던 총리 관저 환영 행사를 생중계하던 KBS의 남성 앵커가 “일장기를 향해서 윤 대통령이 경례하는 모습을 방금 보셨다”라며 ”단상에 태극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의장대가 우리 국기를 들고 있을 것 같지는 않고요“라고 말했다. 그러자 함께 진행하는 여성 앵커도 동의하듯 ”예 그렇습니다“라고 답했다.

 

탁 씨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자국 애국가에는 경의를 표할 줄 모르고, 상대국 국기에는 고개 숙여 절을 하는 한국 대통령”이라고 비난했다. 윤 대통령이 “태극기에 경례하고 다시 고개를 숙여 일장기에 경례”를 했다면서 '의전에 어긋난다'라고 공격했다.

 

하지만 일본은 외국 정상과 일본 총리가 함께 의장대 사열을 받으며 상대방 국기에 함께 예를 표하는 관행을 갖고 있다. 지난해 7월 일본을 방문한 현 인도네시아 대통령 조코 위도도는 윤 대통령과 같은 모습으로 일장기에 경례했다. 2021년 도쿄에서 열린 회담에 참석한 베트남 팜민찐 수상 역시 일장기에 경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KBS는 뉴스특보 말미에 다음과 같은 공식 사과 멘트를 했다.

 

“앞서 저희 KBS가 일본 총리 관저 환영 행사를 중계하면서 남자 앵커가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의장대에 인사하는 장면에 대해 ‘의장대가 태극기를 들고 있지 않은 것 같다’고 언급을 했으나 실제 일본 의장대는 일본 국기와 함께 태극기를 들고 있었다. 다만 화면상에 일장기만 보여서 상황 설명에 착오가 있었다. 이를 바로 잡고 혼선을 드린데 대해 사과드린다”.

 

하지만 KBS의 보도 이후 야권에서 ‘윤 대통령의 의전 실수’라며 윤 대통령이 일장기를 향해서만 인사한 것처럼 가짜뉴스가 급속히 퍼지면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안병길 국민의힘 의원은 “탁현민 전 비서관이 윤 대통령의 일본 순방 사진을 두고 의전 사고와 외교 실수라며 날조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문재인 전 대통령이 이집트 순방 당시 이집트 국기에 경례하는 사진과 함께 “이것이 의전 사고이고 외교 참사인가?”라면서 “촌스럽고 철 지난 반일 팔이 선동, 참 보기 딱하고 추하다”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