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3.2℃
  • 맑음강릉 4.8℃
  • 박무서울 6.0℃
  • 연무대전 7.1℃
  • 박무대구 4.0℃
  • 맑음울산 3.7℃
  • 박무광주 5.9℃
  • 맑음부산 7.5℃
  • 맑음고창 0.4℃
  • 구름많음제주 7.0℃
  • 맑음강화 4.9℃
  • 구름많음보은 3.6℃
  • 구름많음금산 6.0℃
  • 맑음강진군 2.1℃
  • 맑음경주시 1.3℃
  • 맑음거제 5.5℃
기상청 제공

尹대통령 "문명 국가에서 볼 수 없는 줄탄핵 대단히 악의적"

11일 탄핵심판 제7차 변론 출석, 야당 겨냥해 작심 발언
"취임하기 전부터 퇴진 요구… 계엄 전 무려 178회 탄핵·퇴진 요구"
"핵심 아킬레스건 예산을 일방 삭감한 전례 없어… 이 정권 파괴가 목적이었다"


11일 탄핵심판 제7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윤석열 대통령은 야당을 겨냥해 “문명 국가에서 볼 수 없는 줄탄핵은 대단히 악의적”이라며 “우리 헌정사상 핵심 예산을 일방삭감한 전례가 없다”고 작심 발언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나와 “저도 한말씀 드리겠습니다”라며 포문을 열었다. 국회 소추인단 측이 “대통령이 정치인으로서 야당과 대화와 타협을 해야 하는데, 대통령이 그 임무를 방기하고 계엄으로 해결하려 해 위헌성이 농후하다”고 지적한 것에 대한 반박이었다.

 

윤 대통령은 “제가 취임하기 전부터 민주당과 야권에선 선제 탄핵을 주장하면서 계엄을 선포하기 전까지 무려 178회를 퇴진과 탄핵 요구를 했다”며 “또 제가 국회 연설하러 가면 아무리 미워도 얘기 듣고 박수 한번 쳐주는 것이 대화와 타협의 기본인데, 제가 취임하고 갔더니 로텐더홀에서 대통령 퇴진 시위를 하면서 의사당에 들어오지도 않아서 여당 의원만 놓고 반쪽짜리 기조 연설을 했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 다음번(이듬해)에는 언론이 비판하니까 (야당 의원들이) 들어오긴 했는데 전부 고개를 돌리고 있고 끝나고 악수를 (청)하니까 거부하면서 문쪽에 있는 안면이 있는 일부만 (악수)했다”고 말했다.

 

또 “심지어는 저에게 ‘빨리 사퇴하세요’라는 의원들도 많았다”고도 했다. 윤 대통령은 취임 후 2차례 시정연설에 참여했으나, 지난해엔 불참했다. 대통령이 시정연설에 불참한 것은 11년 만으로 언론은 주로 윤 대통령을 탓했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야당이 아무리 저를 공격하더라도 왜 대화와 타협을 안 하겠나”라며 “100석 조금 넘는 의석을 가지고 어떻게든 야당을 설득해서 뭐를 해보려고 한 건데 이 문명 국가에서 도대체 현대사에서 볼 수 없는 줄탄핵이라고 하는 것은 대단히 악의적”이라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대화와 타협을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이 정권을 파괴시키는 것이 목표라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야당의 ‘예산 폭거’에 대해서도 분명히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헌정사상 핵심 아킬레스건 예산을 일방 삭감한 상태로 예산안을 일방 통과시킨 거는 지난 12월이 유일했다”며 “대통령이 대화와 타협을 거부하고 불통의 일방 통행을 하면서 이뤄졌다는 것이 바로 민주당의 계속된 프레임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소추인단 측) 주장은 본인들에게 스스로가 한 번 되짚어봐야 할 문제를 제게 얘기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그렇게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송원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