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가입자 확대를 목표로 하던 넷플릭스, 티빙 등 OTT 산업이 앞으로는 가입자 확대보다는 수익성을 중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한 다른 미디어 기업들이 넷플릭스를 적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앞으로는 독점 콘텐츠를 넷플릭스에 제공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2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OTT 산업 10년의 조망과 2025년 OTT 시장 전망’이라는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해당 세미나는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하고, (사)한국OTT포럼이 주관했다.
발제자로 참석한 유건식 성균관대 교수는 “지난해부터 OTT 시장의 흐름이 수익성 확대로 방향을 잡고 있다”며 “2025년도에도 요금 인상, 광고 확대, 구조조정, M&A 등을 통해 수익성을 중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교수는 “OTT 서비스가 포화상태가 되면서 넷플릭스를 포함한 디즈니+, 티빙도 광고 모델을 출시했다”며 “넷플릭스는 광고 요금제가 효율성이 높다는 판단하에 기본 요금제를 없애고 광고 요금제 확대를 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 교수는 “올해 국내 OTT 플랫폼 중 티빙의 이용자가 늘었다”며 “티빙의 이용자 증가는 KBO 중계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OTT 산업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보다 안정적인 스포츠 콘텐츠에 눈을 돌리고 있다”며 “드라마 제작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지만 제작된 콘텐츠의 성공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유 교수는 2025년 OTT 산업에 대해 "미디어 기업들이 넷플릭스라는 존재를 어느 정도 인정하고 협력하기 시작했다"며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 NBC유니버셜 등이 넷플릭스에 콘텐츠를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그는 "국내에서도 지상파 방송사와 웨이브의 콘텐츠 독점이 끝나는 시점에 넷플릭스가 적극적인 콘텐츠 구애를 하고 있다고 알려졌다"며 "콘텐츠를 제작하여도 광고나 해외 판매를 통해 투자 비용을 만회하지 못한다면 넷플릭스와 협력하는 사례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용희 경희대 교수는 OTT로 인해 국내의 콘텐츠 제작 환경이 황폐화됐다는 비판에 대해 “OTT가 없었다면 한국 콘텐츠가 과연 이렇게 발전할 수 있었을까 또는 그 품질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었을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제작사들이 콘텐츠의 질을 높이기 위해 배우들의 몸값이 올라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OTT에 대한 비판은 콘텐츠와 플랫폼 자원의 배분이 불완전하기 때문인 것”이라며 “이를 개선해야 되는 것이지 투자를 많이 했다고 비판을 받아야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른 산업의 경우, 해외에서 한국에 그 정도 수준의 투자를 한다면 칭찬받았을 것”이라며 “OTT는 시장의 주요한 사업자 또는 지배적 사업자라는 이유만으로 비판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