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에 정당지지도에서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다.
한국갤럽이 지난 7∼9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국민의힘 정당지지도는 34%, 민주당은 30%로 집계됐다.
조국혁신당은 11%를 기록했고, 개혁신당은 5%, 정의당·진보당은 각각 1%였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19%다.
직전 조사(4월26일)와 비교해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나란히 1%p 상승해 격차를 유지했다. 조국혁신당은 2%p 하락했고, 개혁신당은 2%p 상승했다.
지역별로 국민의힘은 서울,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등에서, 민주당은 인천·경기, 대전·세종·충청, 광주·전라 등에서 우세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60대·70대 이상에서 국민의힘이, 20대·30대·40대·50대에서는 민주당의 지지도가 높았다.
성향별로는 국민의힘이 보수층에서 65%, 민주당이 진보층에서 55%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조국혁신당을 지지하는 진보층은 19%였다.
중도층에서는 국민의힘 25%, 민주당 29%였고, 조국혁신당은 12%다.
취임 2주년을 맞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24%를 기록했다. 윤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총선 이후 한 달째 취임 후 최저 수준이다.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률 24%는 제6공화국 출범 후 재임한 대통령들의 취임 2주년 지지율 중 가장 낮다고 갤럽은 밝혔다.
한국갤럽은 다만 "대통령의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은 조사 기간 마지막 날인 9일에 이뤄져 이번 결과에 온전히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긍정 평가 이유는 '외교'(11%), '의대 정원 확대'(7%), '경제/민생', '주관/소신'(이상 5%), '열심히 한다/최선을 다한다', '결단력/추진력/뚝심', '진실함/솔직함/거짓없음', '전반적으로 잘한다'(이상 4%) 순이었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물가'(19%)을 꼽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소통 미흡'(15%), '독단적/일방적'(7%), '외교'(5%), '전반적으로 잘못한다'(4%), '의대 정원 확대', '거부권 행사', '통합·협치 부족', '부정부패/비리', '경험·자질 부족/무능함', '김건희 여사 문제'(이상 3%)가 그 뒤를 이었다.
한국갤럽은 윤석열 정부 출범 2년을 맞아 경제, 복지, 교육, 대북, 외교, 부동산 정책, 공직자 인사 등 7개 분야에 대한 평가도 진행했다.
분야별 긍정률은 대북 33%, 복지 31%, 외교 30%, 교육 27%, 부동산 23%, 경제 19%, 인사 14% 순이었다.
한국갤럽은 "인사·경제·부동산 정책 평가가 현 정부 출범 후 최저 수준이며 지난 분기 대비 복지, 인사 분야 낙폭이 크다"며 "의대 정원 확대 사안, 이종섭 전 장관 등 총선 전후 당정 인선 등의 여파로 짐작된다"고 풀이했다.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 결과 민주당 이재명 대표 23%, 국민의힘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17%,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7%, 홍준표 대구시장·개혁신당 이준석 대표 각 3%,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오세훈 서울시장 각 2%였다.
38%는 특정인을 답하지 않았다.
특별검사 도입을 놓고 정치권에서 쟁점인 해병대원 채모 상병 순직 사건에 대해선 응답자 57%는 '특검을 도입해야 한다', 29%는 '그럴 필요 없다'고 했으며 14%는 의견을 유보했다. 특히 자신이 보수 성향이라고 한 응답자 43%가 특검 도입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응답률은 11.2%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