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국내 특화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출시

  • 등록 2025.11.12 15:56:57
크게보기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기반의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출시로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와 함께 강력한 멀티 클라우드 라인업을 확보

 

KT(대표이사 김영섭)가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해 개발한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Secure Public Cloud)'를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고 12일 밝혔다.

 

국내 금융·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우선 적용하고, 향후 다양한 산업군으로 시장을 확대해 갈 방침이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기반의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출시로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와 함께 강력한 멀티 클라우드 라인업을 확보하면서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는 국내 디지털 주권과 강력한 클라우드 성능을 동시에 충족한다.

 

대규모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어 기존 퍼블릭 클라우드 이상의 효율성을 제공하면서도 디지털 보안 강화 트렌드에 맞춰 국내 규제에 특화된 한국형 클라우드 서비스다.

 

KT는 소버린 클라우드 제공을 위해 자체 기준 3가지를 마련해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를 개발했다.

 

이 서비스는 ▲데이터 전 과정(저장·전송·사용)의 안전한 보호 ▲고객의 자원 권한 강화 ▲국내 데이터 저장·관리 등이 강점이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에는 데이터 보안을 위해 '기밀 컴퓨팅(Confidential Computing)' 기술이 적용됐다.

 

클라우드 인프라에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이 기술은 메모리상의 데이터를 암호화해 저장함으로써 외부에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도록 안전하게 보호한다.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장치인 '관리형 HSM(Hardware Security Module)'을 통해 이용 기업이 직접 관리하는 전용 키(Customer Managed Key)를 안전하게 생성·보관·관리한다.

 

이 전용 키 체계로 데이터 저장부터 기밀 컴퓨팅 서버에서의 데이터 활용까지 클라우드 내 데이터 암호화의 전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의 모든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국내에서 저장·관리하도록 설정돼, 데이터 자원은 국내 기업과 기관의 권한 내에서 통제된다는 점도 특징이다.

 

KT는 클라우드 MSP 사업자로서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부터 운영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출시를 계기로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보안 요건에 따라 CSAP 인증을 획득한 KT클라우드,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KT Enterprise부문 AX사업본부장 유서봉 상무는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는 고객의 디지털 주권은 강화하면서도 글로벌 수준의 보안과 컴플라이언스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안전한 클라우드 서비스"라며, "KT는 고객들이 신뢰도 높은 소버린 클라우드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적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희창 기자

정희창 기자 jhc1777@naver.com
Copyright @바른언론 트루스가디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강남구 밤고개로1길 10(수서동, 수서현대벤쳐빌), 1815호 등록번호: 서울 아54705 | 등록일 : 2023.2.20 | 대표·발행인: 김형철 | 편집인: 송원근 | 전화번호 : 02-711-4890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송원근 02-711-4890 wksong7@naver.com
Copyright @바른언론 트루스가디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