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읽기] 석유화학 산업 재편 방안 발표… "구조조정 속도가 관권"

  • 등록 2025.08.21 13:00:57
크게보기

“업체 간 눈치 보기에 성과 없어… 구조조정 유도할 ‘당근’과 ‘채찍’ 내놨어야“ (한겨레)
"'무임승차'에 대한 대응 방침은 주목할 점… 관건은 속도” (매일경제)
“석유화학 업계만의 과제 아냐… 20년 간 10대 기업·수출 품목 변하지 않아” (중앙일보)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위기에 빠진 석유화학산업에 대해 정부가 구조 재편 방안을 내놓았지만, 업계의 자구노력을 유도할 확실한 방안은 제시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겨레는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수 있게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매일경제도 “대응 방침에 대해서는 주목할 만하다”면서도 “관건은 속도”라고 지적했다. 중앙일보는 산업 재편과 구조조정은 석유화학에만 국한된 얘기가 아니라며 정부가 전반적인 산업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겨레는 21일 <석유화학 위기, 정부 적극 나서 구조개편 이뤄내야>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업계와 정부가 공동 대응에 나선 것은 석유화학산업의 수익성 악화가 갈수록 심화하면서 이대로는 업계가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 공감대를 이뤘기 때문”이라면서 “이번 위기는 산업 사이클에 따른 일시적 침체가 아니라 중국·중동발 공급과잉에 따른 구조적 불황인 탓에 단지 ‘버티기’로는 극복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사설은 “생산시설 축소나 폐쇄, 사업 매각, 기업 간 통합 등 산업 구조조정은 기업 간 이해관계와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릴 수 있어 업계 자율에만 맡겨서는 성공하기 쉽지 않다”며 “정부는 지난해 말에도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통해 업계의 자율적 사업 재편을 촉구했지만, 업체 간 눈치 보기 양상만 지속되고 뚜렷한 성과는 나오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정부는 원칙적인 입장만 밝히고, 구조조정을 유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당근’과 ‘채찍’ 방안은 내놓지 않았다”며 “일단 업계의 노력을 지켜보되, 논의가 지지부진할 경우 기업들의 결단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등 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매일경제도 이날 <"석화 통합 땐 인센티브" … 자율 구조조정 마지막 기회다>라는 사설에서 “주목할 점은 '무임승차' 기업에 대한 단호한 대응 방침”이라며 “자구 노력 없이 정부 지원에 의존하거나, 다른 기업의 감산 노력에 편승해 이익만 누리려는 경우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사설은 “구조조정의 성패는 속도에 달려 있다. 시기를 놓치면 국내 기업의 글로벌 입지는 더 축소되고, 다시 경쟁력을 회복할 기회도 사라질 것”이라며 “산업계는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과감한 감산과 고부가가치로의 전환, 인수·합병까지 포함한 전방위적 개편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일보는 <만시지탄 석유화학 구조조정, 다른 산업은 해당 없나>라는 사설을 통해 “정부와 업계 의뢰로 컨설팅을 맡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의 분석은 냉정하다”며 “석유화학의 불황이 이어진다면 3년 뒤에는 국내 기업의 절반은 지속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사설은 “사업 재편과 구조조정은 석유화학 업계만의 과제가 아니다. 경쟁국의 추격 속에 한국의 산업은 고인 물이 돼 가고 있다”며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2005년과 2025년 한국의 10대 기업과 10대 수출 품목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기업의 구조조정을 직접 좌지우지할 수는 없지만, 국가 성장 전략 차원에서 산업 정책의 큰 그림을 제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심민섭 기자

심민섭 기자 darklight_s@naver.com
Copyright @바른언론 트루스가디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227 3층 바른언론시민행동 등록번호: 서울 아54705 | 등록일 : 2023.2.20 | 대표·발행인: 김형철 | 편집인: 송원근 | 전화번호 : 02-711-4890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송원근 02-711-4890 wksong7@naver.com
Copyright @바른언론 트루스가디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