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된 계엄군 부대장이었던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국회 단전 시도 및 국회의원 체포 지시가 없었다고 17일 밝혔다.
김 단장은 이날 오후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 출석해 '비상계엄 때 단전에 대한 대통령 지시가 있었나'라는 성일종 국방위원장 질문에 "일체 없었다"고 답했다.
성 위원장이 '그럼 누가 지시했나'라고 묻자 김 단장은 "단전은 곽종근 특전사령관이 12월4일 12시30분에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무언가를 하기 위해 생각해낸 것"이라고 했다.
'단전 배경에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는 어제 민주당 국조특위 위원들의 기자회견은 가짜뉴스인가'라는 물음에도 "내용이 맞지 않는 뉴스"라고 말했다.
뉴시스에 따르면, 김 단장은 "더 이상 (국회) 진입이 어렵고 앞에 많은 분들이 막고 계셔서 들어갈 수가 없다 ,이런 보고를 드리는 와중에 사령관께서 그러면 혹시 전기라도 내릴 수 있는지 찾아봐라 이렇게 말씀하셨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기) 스위치를 내리는 그 시간대에도 자동으로 비상등이 켜져서 암흑 천지같이 어둡지는 않았다. 충분히 사람이 다 식별되고 불이 꺼졌다고 느끼기도 애매한 그런 수준으로 잠시 꺼졌다가 켜진 상황"이라며 "(단전 시간은) 5분 내라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김 단장은 단전 조치가 국회 기능을 마비시키려는 목적이 아닌 '건물 봉쇄'를 위한 것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대통령 지시는 아니고 곽 전 사령관 개인 판단에 의한 지시였고, 저희 임무를 받고 간 요원은 제가 '지하에 내려가서 한번 불 끄는 것 찾아봐라' 이 정도 말을 하니까 지하 1층 문을 닫는 데 필요한 조치라 이해하고 행한 것"이라고 했다.
또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이 "그날 김 단장이 안규백 민주당 의원을 복도에서 만났는데, 국회의원을 체포하라, 구금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면 그렇게 하지 않았겠나"라고 말하자 김 단장은 "그런 지시가 없었다"고 일축했다.
송원근 기자